빙(bing) 챗GPT 도대체 뭐길래 “검색 점유율 92% 구글 잡는다”

검색 엔진 빙(bing) 급부상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정보 검색은 이전 보다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정보의 홍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검색 엔진은 보다 빠르고 정확한 검색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 진화의 진화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가 만든 검색 엔진 빙(bing)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세계 검색 엔진 점유율이 5%도 채 되지 않는 검색 엔진 빙(bing)이 떠오르는 이유는 AI 모델 서비스인 챗 GPT(ChatGPT)를 가장 먼저 런칭했기 때문입니다.

챗GPT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검색 엔진 빙(bing)

챗 GPT(ChatGPT)란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입니다. 향후 구글을 비롯한 모든 검색 엔진을 대체할 수도 있는 기술로 평가 받고 있어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검색 엔진 빙(bing)은 챗GPT(ChatGPT)를 내놓기 전까지 한계가 뚜렸했습니다. 장점 보다 단점이 더욱 두드러졌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이미 삭제된 웹페이지를 인식하는 능력히 현저히 떨어지면서 삭제된 웹페이지가 그대로 노출되는 등 사실상 사용자 측면에서 정확한 검색 정보를 얻기가 불편했습니다. 구글 검색 엔진에 비해 빙 사용자 수가 적은 것도 그런 이유입니다.

물론 장점도 있습니다. 고대유물 발굴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점인데, 고대유물 또는 고대유적에 관한 웹페이지를 찾아내는 것은 여타 검색 엔진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던 빙이 올해 2월 7일 ChatGPT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프로메테우스’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검색 엔진을 내놓자 구글도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 챗 GPT(ChatGPT)는 향후 구글을 비롯한 모든 검색 엔진을 대체할 수도 있는 기술로 평가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은 챗 GPT(ChatGPT)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챗GPT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

윤리적인 문제는 해결 과제

그러나 한계도 분명 있습니다. 실시간 피드백은 가능하지만 말그대로 AI에 불과하기 때문에 2021년 이후 데이터는 정보 처리가 안 된다는 점입니다. 2021년 이후에 대한 데이터는 아직 학습이 되지 않았다는 말입니다.

무엇보다 가장 큰 단점은 윤리적인 문제가 남아 있다는 데 있습니다. 창작의 영역은 온전히 인간의 몫이라는 명제는 이제 과거의 이야기입니다. AI가 그림을 그리고, 시를 쓰는 수준까지 도달했다는 점은 분명 상기할 만한 대목입니다.

특히나 특정 키워드를 입력해 숙제를 대신 해준다거나, 시험을 대신 치르게 하는 등 학생들의 창의성을 박탈할 수도 있다는 점 등 윤리적인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빙(bing)의 무기인 챗GPT(ChatGPT)가 세계 검색 엔진의 공룡으로 불리우는 구글에 도전장을 내민 것에 대해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세계 검색 엔진 점유율을 보면 여전히 구글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실제 구글의 세계 검색 엔진 점유율(2020년 기준)은 92.54%에 달합니다. 나머지 7.5%는 빙, 야후, 바이두가 나뭐 먹고 있는 셈입니다.

▶난방비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최대 59만원”

▶뺑소니 보상 최대 1억 5천, 정부지원금 받는 방법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얼마? 2023년부터 5.1% 인상

▶부동산 및 법인 등기사항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

▶부모급여 신청 방법 2024년부터 매월 100만 원

Share on: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